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

법철학 21, 사회적 사실로서의 법, 조셉 라즈 켈젠은 전체 법질서의 실효성이 그 안에 있는 모든 규범에 대한 유효성의 필요조건이라고 주장하므로, 법률체계의 존재에 내재하는 것은 그 법률이 일반적으로 준수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는 에서 이 문제를 단도직입적으로 표현한다. '모든 기준적이고 큰 효과의 강압적 질서는 객관적으로 유효한 규범적 질서로 해석될 수 있다. ' 하지만 이것은 문제가 있다. 법이 실제로 지켜지고 있는지 무시되고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켈센의 구절에서 법이 '별로, 크게' 효과적이었는지 어떻게 시험해 볼 것인가? 많은 사람들은 법적 질서의 효용성이나 그 외의 것은 우리가 목격하거나 관찰할 수 있는 경험적인 문제라고 말할 것이다. 그러나 순수한 이론은 이런 종류의 '사회학적' 질문들을 퍼뜨린다. 켈슨은 또한 법이 효과적인 이유.. 2023. 7. 10.
법철학 20, Kelsen의 기본 규범 각 규범의 타당성은 다른 더 높은 규범에 의존하기 때문에, 우리는 결국 되돌릴 수 없는 지경에 도달한다. 이것이 기본규범 또는 그룬드규범이다. 모든 규범은 바로 국가의 헌법을 포함한 '사교'의 고조되는 수준에서 이 규범으로부터 나온다. 정의상 기본 규범의 타당성은 다른 규범에 의존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은 전제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 없이는 우리는 법질서를 이해할 수 없다고 켈슨은 주장한다. 기본 규범은 존재하지만 '주리주의적 의식'에만 존재한다. 법률학자, 판사 또는 변호사에 의해 법률체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가정이다. 그러나 임의로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법질서가 '별로, 크게' 효과적인지를 참고로 한다. 그것의 유효성은 효능에 달려 있다. 즉, 기본 규범의 타당성은 다.. 2023. 7. 10.
법철학 19, 규범으로서의 법, 한스 켈슨 한스 켈슨(1881~1973)은 그의 복잡한 '순수한 법 이론'에서 우리가 법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에 대한 미묘하고 심오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우리는 그것을 '우그츠'나 규범의 체계로 인식함으로써 그렇게 해야 한다고 그는 주장한다. Kelsen은 법이 또한 이러한 규범들에 의해 결정되는 법적 행위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그러나 법의 본질적 특성은 사법적 결정과 계약과 유언과 같은 법적 거래를 포함하는 규범에서 비롯된다. 아무리 일반적인 규범이라도 인간의 행동을 기술한다. 18세기 위대한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영향을 받은 켈슨은 우리가 객관적 현실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시간과 공간과 같은 특정한 형식적 범주를 적용해야만 비로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받아들인다... 2023. 7. 10.
법철학 18, 세 가지 종류의 이차 규칙을 통합 일차 규칙의 성격과 목적을 설명한 하트는 모든 법 체계가 세 가지 종류의 이차 규칙을 통합한다는 것을 보여주려고 한다. 첫번째로 그는 변화의 규칙을 부른다. 이는 1차 규칙과 특정 2차 규칙(예: 아래 판결 규칙) 모두에 대한 입법적 또는 사법적 변경을 촉진한다. 이러한 변화의 과정은 개인이나 단체(예: 의회 또는 의회)에게 특정 절차에 따라 법률을 제정할 권한을 부여하는 2차 규칙에 의해 규제된다. 또한 변화의 규칙은 당신과 내가 우리의 법적 지위(예: 계약, 유언 등)를 변경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한다. 둘째, 법관 등 개인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판결규칙이 있는데, 주로 1차 규칙 위반의 경우 판결을 통과시킨다. 이 권력은 통상적으로 가해자를 처벌하거나 가해자에게 손해배상을 강요하는 추가적인 권력과 관.. 2023. 7. 10.